안녕하세요, 세이르타입니다.
이번에는 나이!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태어나자마자 1세로 시작해서 나이를 세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태어날때 0세로 시작하는 것을 만나이로 부르는데요,
앞으로는 나이에대한 계산법을 이 만나이로 통합하겠다는 민법`행정법으로 개정되어진다고 하네요.
1세 미만의 경우에는 00개월차로 표시한다고 합니다.
올해 본 회의에서 통과할 경우 내년부터 시행되어진다고 하는데 이제는 1세부터 세어가던 나이방식은 사라져 버리겠네요.
일상생활에서는 이제 만나이로 말하게 되니,
만나이론 아직 앞자리가 2야! 3이야! 하며 장난치던것이 앞으로는 익숙해져 버리겠군요.
그렇다면 나이, 어떻게 말하면 되는지 아래 간단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90년생 > 생일을 기준으로 생일이 안 지났으면 지금 나이에서 -2로 (만)32세 / 지금 나이에서 생일이 지나면 -1로 (만) 33세
91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1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2세
92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0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1세
89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3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4세
88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4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5세
87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5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6세
여기까지만 알아보자.
2003년생부터 사라진 빠른년생은 생일이 안 지났으면 -3 / 생일이 지났으면 -2 낮춰 말합니다.
90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1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2세
91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0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1세
92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29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0세
89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2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3세
88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3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4세
87년생 > 생일이 안 지났으면 (만)34세 / 생일이 지났으면 (만)35세
여기까지 알아보자.
언론과 방송/ 인터넷 등에서의 인물의 나이를 표기할 때는 만나이로 표기되어집니다.
대중교통이나 이용시설 등의 어린이 나이도 모두 만나이로 표기 되어집니다.
의약품의 연령별 용법 용량에서 만나이로 표기되어 집니다.
연나이는 점차 사라져 가겠군요.
그나저나 저는 빠른 년생이니깐 조금 복잡한 느낌이 들겠네요! 법이 어떻게 바뀌게 될지 더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놀라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부모급여 정리 (0) | 2023.01.03 |
---|---|
부모님 설 명절 선물 추천 (0) | 2023.01.03 |
일본여행갈 때 주의할 것 (0) | 2022.12.19 |
임대차 계약서 분실한다면? (0) | 2022.12.14 |
2023년에 내가 쉴 수 있는 날 (0) | 2022.12.08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