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새는 많은 집에서 차례상을 잘 안 차리는 곳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차례상을 계속 해왔던 집도 있고
저희집처럼 안 차리다가 급 차리기 시작한 집도 있습니다.
그래서 곤란해지지 마시라고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차례상의 기본
- 동쪽과 서쪽
상을 바라보는 기준, 왼쪽 서쪽 오른쪽 동쪽입니다.
- 1열(식사류)
* 접동잔서 :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
*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
* 신위 :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을 이른다)
* 시접 : 제상에 수저를 담아 놓는 놋그릇.
*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
(남자 조상님의 신위 기준 밥, 국, 술잔은 왼쪽에(서쪽) - 여자 조상님의 신위 기준 밥, 국, 술잔은 오른쪽에(동쪽) 둡니다.)
- 2열(주 요리)
* 적접거중 : 구이(적)은 중앙
* 어동육서 : 생선은 적(중앙) 기준 동쪽, 고기는 적(중앙) 기준 서쪽
* 동두서미 : 생선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 3열(부 요리)
탕 가지수는 1, 3, 5개 등 홀수로 준비합니다.
일반적으로는 3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 4열(밑 반찬류)
* 배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쪽으로 가도록 한다.
* 서포동혜 : 포는 서쪽,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
* 숙서생동 : 나물류은 서쪽, 김치류는 동쪽
- 5열(후식)
* 홍동백서 : 적색 과일은 동쪽에, 백색 과일은 서쪽에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곶감) 순서로 이후 사과, 약과(호두나 망과류), 한과(조과류)를 진설합니다.
과일은 홀수로 준비하여 윗부분을 깎아서 준비합니다.
2. 차례상 주의점
- 과일은 집안마다 다르게 올리기도 합니다만, 복숭아만큼은 올리지 말아야 합니다.
이유는 복숭아가 귀신을 쫓는다 하여 조상님이 집 안으로 들어 올 수 없다고 해 올리지 않습니다.
추석에만 햅쌀, 햇과일, 햇곡식을 올리며, 사과 배 기본에 곶감 대신 생 단감을, 건대추 대신 생대추를 올립니다. - 삼치나 갈치, 꽁치 처럼 끝에 '치'가 들어가는 생선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끝에 '치'가 들어간 생선은 대부분 붉은 살 생선들입니다. 붉은 색은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도 하고, 비린내도 심해 그나마 덜 비린내가 나고 흰살 생선인 끝이 '어' 나 '기'로 끝나는 생선을 올립니다(전어, 조기 등) - 차례상에는 고춧가루나 마늘 양념을 하지 않습니다.
고춧가루 역시 붉기 때문에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김치류는 물김치, 나박김치류를 많이 올립니다) - 붉은 팥은 쓰지 않고 흰 고물을 씁니다.
마찬가지로 붉은 팥에도 귀신을 쫓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흰 고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차례상에는 밥과 국을 송편이나 떡국으로만 대신하는 경우도 있으며, 조기나 포, 탕 등의 번거로운 음식을 생략하더라도 예의가 아니기 때문에 간소하게 차려도 괜찮다고 합니다.
때문에, 차례상에 대해서는 제사상보다는 훨씬 간단하기도 하고, 자율성이 있기도 해서 주의할 것만 지킨다면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반응형
'놀라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설 연휴 정보 모음 (0) | 2023.01.20 |
---|---|
설날 세뱃돈 적정 금액과 세배하는 방법 (0) | 2023.01.19 |
티스토리 약관 개정안내 (0) | 2023.01.17 |
가전 구매 지원 방법 총 정리 (0) | 2023.01.16 |
숙취해소 방법 (0) | 2023.01.13 |
댓글0